반응형
SMALL
Docker 네트워크
1. bridge
네트워크
- 커맨드에서 아래처럼 작성하는 것과 같음
$ docker network create --driver=bridge mongo-networks
2. host
네트워크
$ docker run -it --name network_host --net host ubuntu:16.04
- 네트워크를 호스트로 설정하면 호스트의 네트워크 환경을 그대로 사용함
- 윈도우(베어메탈) 네트워크 환경을 사용한다는 의미
- 포트포워딩 없이 내부 어플리케이션 사용
- 썩 좋은 방법은 아님
- 컨테이너가 하나일 땐 그나마 괜찮음
3. none
네트워크
- 네트워크를 사용하지 않음
4. container
네트워크
- 다른 컨테이너의 네트워크 환경 공유
--net container:<다른컨테이너ID>
5. overlay
네트워크
- 다른 호스트들 간에 네트워크 공유
- 첫번째 피씨를 서버로, 두번째 피씨를 개발로 쓴다면 하나의 피씨에 컨테이너 다 띄우고 사용하기 힘드니까 각각 다른 피씨에서 사용하고 그 각각끼리 네트워크 공유
- 즉, 호스트를 여러개 사용할 때 주로 사용
- 호스트가 하나라면 굳이 이 네트워크 쓸 필요가 없음
swarm
,K8s
기능은 이 네트워크를 사용함
반응형
LIST
'Docke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Docker] Swarm / DinD 실습 - registry 컨테이너 (0) | 2020.03.30 |
---|---|
[Docker] 스웜이란? (What is Docker Swarm?) / 도커 인 도커 (DinD) (0) | 2020.03.29 |
[Docker] MongoDB 설치하기 (0) | 2020.03.27 |
[Docker] docker-compose 란? (compose 실행 및 종료) (1) | 2020.03.26 |
[Docker] Volume Mount(볼륨 사용하기) (1) | 2020.03.2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