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SMALL
2. 문자열
2.1 문자열 표시
"a"
'a'
2.2 문자열 곱하기
"문자열" * 숫자
print("=" * 50)
print("My Program")
print("=" * 50)
2.3 문자열 길이 구하기
a = "python"
len(a)
>> 6
2.4 문자열 인덱스
- 0 부터 시작
- 맨 마지막은 -1 부터 시작
a = "python"
a[-1]
>> n
a[-2]
>> o
2.5 문자열 자르기
- 시작 인덱스부터
마지막 인덱스 -1
까지
a = "python study"
a[0:5]
>> 'pytho'
a[0:]
>> 'python study'
# 두 부분으로 자르기
a = "abcd"
a1 = [:2]
a2 = [2:]
a1
>> 'ab'
a2
>> 'cd'
2.6 문자열 포맷
%
"a is %d" % 100
>> a is 100
코드 | 설명 |
---|---|
%s | 문자열 |
%c | 문자 1개 |
%d | 정수 |
%f | 부동소수 |
%
를 퍼센트로 쓰고 싶다면%%
- 함수 이용
.format(인자)
# 인덱스
"I eat {0} apples. {1}".format(3, "more!")
>> I eat 3 apples. more!
# 변수명
"I ate {number} apples. so I was sick for {day} days.".format(number=10, day=3)
>> I ate 10 apples. so I was sick for 3 days.
# 혼용
"I ate {0} apples. so I was sick for {day} days.".format(10, day=3)
>> I ate 10 apples. so I was sick for 3 days.
f
age = 30
f'나는 내년이면 {age+1}살이 된다.'
>> 나는 내년이면 31살이 된다
2.7 문자열 정렬
:<10
/:>10
/:^10
# 왼쪽 정렬
f'{"hi":<10}'
>> 'hi '
# 오른쪽 정렬
f'{"hi":>10}'
>> ' hi'
# 가운데 정렬
f'{"hi":^10}'
>> ' hi '
# 채우기
"{0:=^10}".format("hi")
>> '====hi===='
"{0:!<10}".format("hi")
>> 'hi!!!!!!!!'
2.8 문자열 관련 함수
특정 문자 개수 세기
a.count('b')
위치(인덱스) 알려주기
a.find('b')
# 없으면 -1
처음 나온 위치(인덱스) 알려주기
a.index('b')
# 없으면 오류
문자열 삽입
- 각 문자열 사이에 삽입
",".join('abcd')
>> 'a,b,c,d'
소문자 to 대문자
a.upper()
대문자 to 소문자
a.lower()
왼쪽 공백 지우기
a = " hi "
a.lstrip()
>> 'hi '
오른쪽 공백 지우기
a = " hi "
a.rstrip()
>> ' hi'
양쪽 공백 지우기
a = " hi "
a.strip()
>> 'hi'
문자열 바꾸기
a = "Life is too short"
a.replace("Life", "Your leg")
>> Your leg is too short
문자열 나누기
a = "Life is too short"
a.split() # 아무것도 안넣으면 공백 기준으로 나눔
>> ['Life', 'is', 'too', 'short']
b = "a:b:c:d"
b.split(':')
>> ['a', 'b', 'c', 'd']
문자열로 변형하기
5 + " hi" (x)
str(5) + " hi"
>> 5 hi
반응형
LIST
'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python] 집합 {} (0) | 2020.09.03 |
---|---|
[python] 딕셔너리 { : } (0) | 2020.09.02 |
[python] 튜플 () (0) | 2020.09.02 |
[python] 리스트 [] (0) | 2020.09.02 |
[python] 기본 (0) | 2020.09.02 |